분류 전체보기23 Springboot 개념 정리 + java 문법 개념 [Infearn 강의 참조(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- 기본편)] 0. 원래는 SQL문을 한개씩 다 작성해야 했다. JPA가 나오면서 일일이 SQL 작성할 필요 없다. 마치 JAVA COLLECTION에 객체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것처럼 단순하게 가능 -> 적절한 SQL 자동으로 불러옴 1.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차이 1) 상속 -> 객체에는 있는 개념이지만 DB에는 엄밀하게 봤을때 다른 개념의 상속이 존재한다.(TABLE 슈퍼타입 서브타입 관계) 2) 연관관계 ->JAVA는 GET을 이용해 가져오고 , DB의 경우 JOIN을 통해 TABLE을 합쳐서 가져온다.(객체는 참조를 사용, 테이블은 외래키를 사용한다.) => 객체는 단방향적으로 데이터 FLOW가 있고 테이블은 양방향적이다. 3).. 2022. 10. 1. 코틀린 기초(1주차) - Udemy 강의 0. 모든 것의 시작은 main function에서부터이다. 1. val 과 var 차이점?(변수) 먼저 자바와는 다른점은 코드 마지막마다 세미클론을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. var은 중복기재가 된다. 즉 var은 유동적인 변수에 사용한다. val은 정적인 변수에 사용하기 떄문에 값이 변하지 않는 상수라고 생각하면 된다. 2. 주석 처리 //(한줄 주석), /* */(전체주석)을 사용해서 코드에 대한 설명을 기재한다. (다른 개발자들이 코드의 의미를 잘 알 수 있도록) 3. type 정해주기(사실은 값을 보고 자동으로 type이 정해진다.) ->타입 추론 byte, short, float 같은 경우는 데이터 타입을 명시해주어야 한다. val myByte : Byte = 12 val myFloat : F.. 2022. 9. 28. 01. web crawling(inflearn 강의) 0. 웹 크롤링전에 알아야 할 점? -크롤링 왜 쓰냐? -> 남들의 시간을 절약시켜 줄 수 있다. - 남의 사이트의 허락을 받지않고 크롤링 하는 것이므로 남의 사이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한다. (대상 서버의 traffic 초과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.) - 로봇 배제 표준(robots.txt)에 기술된 것을 지켜야 한다. -> 사이트 url뒤에 robots.txt를 더해서 허락하는 범위를 확인한다. - 웹의 동작 방식을 기본적으로 알아야 한다.(클라이언트 서버) -> HTTP 통신규약을 지키면서 요청과 응답이 이루어지는 것이 웹 동작의 기본이다. - 프론트의 기본 문법에 대해 대략 알아야 한다.(HTML, CSS, JAVASCRIPT 구조) (크롤링을 하기 위해서는 대략적인 구조를 알아야 하.. 2022. 9. 26. 이전 1 ··· 3 4 5 6 다음